사람과 세상을 변화시킬 한 권의 책

솔과학 출판사 신간 [삼국지연의 제6권-천하통일](전6권 중)(나관중 지음, 김민수 옮김) 안내입니다.

솔과학 2022. 8. 28. 23:13

도서명 : [삼국지연의 제6-천하통일](6권 중)(나관중 지음, 김민수 옮김)

 

----------------------------------------

ISBN : 979-11-92404-13-4 (04820)

979-11-92404-14-1(6)

정가 : 20,000

저자 : 나관중

역자 : 김민수

출판사명 : 솔과학 출판사

크기 : 신국판

형태 : 양장

페이지수 : 400페이지

발행일 : 2022829

----------------------------------------

 

삼국지연의6권의 대서사시 완역본,

쉽고 생동감 넘치는 필치로 다시 태어나다!

 

매우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인 역자 김민수!

지금까지 나온 삼국지 번역서를 철저히 비교 분석!

 

표현이 어색하거나 아쉬운 부분이 많아 나무는 보이는데 숲이 보이지 않는 느낌이 드는 기존 번역서, 사용한 언어나 문체가 훨씬 매끄럽고 읽기에 편했지만 군데군데 원문과 다른 내용의 기존 번역서의 내용을 철저히 분석 보완하여,

 

그를 훨씬 넘어서는 번역서를 완성하다!

 

완전히 새롭게 탄생한 삼국지연의,

1권 도원결의, 2권 삼고초려, 3권 적벽대전, 4권 삼분천하, 5권 출사표, 6권 천하통일!

 

중국 고전의 4대 명작!

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 초기에 소설가 나관중이 저술한 三國志演義

진수(陈寿)三國志와 배송지(裴松之)가 주해한 三國志와 민간의 삼국에 관해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에 예술적인 내용을 가미하여 창작한 장편의 장회소설!

 

역사의 교훈을 통해 현대의 삶을 조명할 수 있는 책이 나왔다!

정확하고 감칠맛 나는 번역과 필치로, 이전의 삼국지를 훨씬 뛰어넘다!

역자는 원문의 내용을 가장 충실히 번역하여 독자들이 원문을 정확히 이해하면서도 읽기 편하게 기술하고 있으니, 독자들로 하여금 옛것을 읽히고 그것을 미루어 새것을 앎으로써 역사와 삶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첫째, 고사성어나 중국어 단어의 의미를 그대로 전달한다.

둘째, 장회소설의 원문을 충실히 번역하면서 대화 형식에 어울리게 전달한다.

셋째, 본문에 나오는 모든 한시를 운률 등에 맞추어 정형시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근현대 중국 화가인 김협중(金協中) 선생의 삽화는 글의 내용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어 고사(故事)의 장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천하통일촉을 합병하여 진왕이 지위를 물려받은 사마염은 위 왕제

조환으로부터 강제로 선위를 받아 진의 황제가 되었다.

그리고 오를 정벌하여 손호를 항복시키니 삼국은 마침내 통일이 되었다

 

[6권 천하통일]

완전한 승리를 거두고 개선하는 왕준은 오주吳主 손호를 낙양으로 데려와 진주晉主를 뵙도록 했다.

어전 위로 올라간 손호가 머리를 조아리며 황제를 뵈었다.

진 황제는 그에게 자리에 내어주며 말하기를: “짐이 이 자리를 마련해 놓고 경을 기다린 지 오래요!”

손호가 대답하기를: “신도 역시 남방에서 이런 자리를 마련해 놓고 폐하를 기다렸나이다.”

진 황제는 껄껄 웃었다. 이로써 삼국이 모두 진제晉帝 사마염에게 돌아갔으니

마침내 삼분천하가 다시 하나로 통일되었다. 이는 바로 천하대세는 합친 지 오래면 반드시 나뉘고, 나뉜 지 오래면 반드시 합쳐진다(天下大勢 合久必分 分久必合)’는 것이다.

1. 서문 및 출판사 서평

三國志演義三国志通俗演义, 三國演義등으로 불리는 방대한 분량의 장편소설이다.

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 초기에 소설가 나관중이 저술한 三國志演義는 진수(陈寿)三國志와 배송지(裴松之)가 주해한 三國志와 민간의 삼국에 관해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에 예술적인 내용을 가미하여 창작한 장편의 장회소설이다. 이는 명나라 때 쓰인 西游记, 북송 말을 배경으로 쓴 水浒传, 청대 작가 조설근(曹雪芹)이 쓴 红楼梦과 함께 중국 고전의 4대 명작으로 불린다.

三國志演義는 지금까지 여러 판본이 출간되어 시대와 나라를 불문하고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으며, 청나라 초기에 이르러 모종강(毛宗岗)三國志演義를 정비하였는데, 문사를 수정하고 시문을 다른 것으로 바꾸면서 여러 판본 중 가장 수준이 높고 널리 알려지는 판본이 되었다.

다양한 판본과 이에 따른 번역서가 출판되어 있어 각계각층의 독자가 있는 三國志演義를 또 다른 관점과 기준을 내세워 번역하는 것은 그만큼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역자인 김 선생은 나름대로의 번역 기준을 세워 기존 번역서와의 차별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이 번역본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고사성어나 중국어 단어의 의미를 그대로 전달한다.

둘째, 장회소설의 원문을 충실히 번역하면서 대화 형식에 어울리게 전달한다.

셋째, 본문에 나오는 모든 한시를 운률 등에 맞추어 정형시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근현대 중국 화가인 김협중(金協中) 선생의 삽화는 글의 내용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어 고사(故事)의 장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번역서만의 특징

나는 원문을 가능한 정확하게 번역하기 위해서 몇 가지 원칙을 세웠다.

첫째, 원문의 대화체는 예외 없이 대화체로 번역하여 표기했다. 그러기 위해서 표현이 좀 진부하게 느끼더라도 원문에 있는 형식을 그대로 유지했다. 예를 들어 원문에 玄德曰’, ‘曹操曰이라고 표기된 것은 그대로 현덕 ’, ‘조조 이라고 번역했다. 그리고 玄德笑曰’, ‘曹操大怒曰등으로 앞에 수식어가 있는 경우에는 현덕이 웃으며 말하기를:’ 또는 조조가 크게 화내며 말하기를:’ 등으로 번역했다.

둘째, 이 소설은 독자들로 하여금 직접 눈으로 읽게 쓰여진 소설이라기보다는 전문 이야기꾼들이 말하는 것을 듣는 형식으로 쓰여진 장회(章回) 소설이다. 따라서 장회 소설의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여 매회 마지막에 등장하는 문장을 모두 그대로 번역했다. 예를 들어 제 1회의 맨 마지막 부분인 필경동탁생명여하, 차청하문분해(畢竟董卓生命如何, 且聽下文分解)’를 원문 그대로 번역하여 필경 동탁의 목숨은 어찌될 것인가? 다음 회를 기대하시라.’ 등으로 번역하여 당시 이 이야기를 들려주었던 생생한 장면을 상상해 볼 수 있게 했다.

셋째, 저자가 표현하려는 의도대로만 번역하기 위해 번역자의 주관적 생각은 최대한 배제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번역에 몰두하면서 저도 모르게 감정이 개입하려는 유혹도 들었지만 그런 감정을 억제하려고 노력했다.

넷째, 삼국지연의에는 맨 처음 등장하는 서사(序詞)를 포함하여 본문 안에 실려 있는 210여 개의 한시(漢詩)와 매 회 처음과 마지막을 장식하는 대구(對句) 240여 개 등 모두 450여 개의 한시가 있다. 이 시의 대부분은 오언절구(五言絶句) 또는 칠언절구(七言絶句)로 되어 있는데 이 모든

한시를 최대한 원문의 뜻에 맞게 번역하면서도 정형시로 번역했다. 이런 번역은 지금까지 출판된 수십여 종의 삼국지연의 중에 처음이다. 마지막 부분의 가장 긴 한시까지 모두 정형시로 번역을 마치는 순간 희열을 감출 수가 없었다. 독자들의 엄정한 평가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완역본에는 중국의 삼국지연의 그림의 거장인 김협중(金協中) 화백이 심혈을 기울여 그린 그림 120여 편이 글 중의 가장 극적인 장면에 생동감 넘치게 묘사되어 있다. 독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한층 돋우어 주리라 확신한다.

 

2. 목차

101

공명은 농상으로 나가 귀신으로 꾸미고

장합은 검각으로 달려가 계략에 빠지다

 

102

사마의는 북원 위교를 점거해 주둔하고

제갈량은 운반용 목우와 유마를 만들다

 

103

사마의는 상방곡에 들어가 죽을 뻔하고

제갈량은 오장원에서 별에 목숨을 빌다

 

104

큰 별 떨어져 한 승상 하늘로 돌아가고

위 도독은 목각 인형에 놀라 넋을 잃다

 

105

제갈량은 미리 비단주머니를 남겨 주고

위주 조예는 승로반을 뜯어서 옮겨가다

 

106

공손연은 싸움에 패하여 양평에서 죽고

사마의는 와병을 핑계로 조상을 속이다

 

107

위주는 결국 사마씨에게 정권을 내주고

강유의 군사는 우두산 싸움에서 패하다

 

108

정봉은 눈 속에서 짧은 칼 들고 싸우고

손준은 연회석에서 비밀 계책 시행하다

 

109

사마소는 강유의 지모로 곤경에 처하고

조방을 폐위하니 위나라는 응보를 받다

 

110

문앙은 필마단기로 강한 군사 물리치고

강유는 배수진을 치고 대적을 쳐부수다

 

111

등애는 지략을 써서 강유를 패퇴시키고

제갈탄은 의리를 내세워 사마소를 치다

 

112

우전은 수춘성을 구하려다 의리에 죽고

강유는 장성을 취하려고 격전을 벌이다

 

113

정봉은 계책을 세워서 손침을 처단하고

강유는 진법으로 겨뤄 등애를 쳐부수다

 

114

조모는 수레로 달려가다 남궐에서 죽고

강유는 군량을 버려서 위군에 승리하다

 

115

후주는 참소를 믿어 회군하라고 명하고

강유는 둔전을 핑계대고 화를 벗어나다

 

116

종회는 한중으로 나가면서 군사 나누고

무후는 정군산에서 신으로 또 나타나다

 

117

등사재는 음평 고개를 은밀히 넘어가고

제갈첨은 면죽에서 싸우다 장렬히 죽다

 

118

유심은 선조의 사당에서 통곡하다 죽고

등애와 종회는 서천에서 공적을 다투다

 

119

강유의 거짓투항 계책 실패로 돌아가고

사마염은 다시 선양받을 음모를 꾸미다

 

120

양호는 두예를 천거해서 계책을 올리고

손호에게 항복 받아 삼분천하 통일하다

 

3. 본문 중에서

공명이 군사의 수는 줄이고 아궁이 수는 늘이는 계책(減兵添灶之法)으로 군사를 물려 한중으로 돌아왔다. 사마의는 복병이 있을까 두려워 감히 추격하지 못하고 군사를 거두어 장안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촉군은 군사 한 명도 다치지 않았다.

공명은 전군에 후한 상을 내리고 성도로 돌아가 후주를 뵙고 알현하기를: “노신(老臣)이 기산으로 나아가 장안을 취하려고 하는데 갑자기 폐하께서 조서를 내리시어 돌아오라고 부르셨는데 무슨 큰 일이 있는지 모르겠사옵니다.”

할 말이 없어 한참을 망설이던 후주가 마침내 입을 열기를: “짐이 오랫동안 승상의 얼굴을 보지 못해 사모하는 마음이 사무쳐 부른 것이지 다른 일이 있는 것은 아니오.”

공명 : “이는 폐하께서 본심으로 하신 일이 아니십니다. 틀림없이 어떤 간신이 신이 다른 뜻을 품었다고 참소했기 때문입니다.”

(p.16 중에서)

사마의는 그만 대경실색을 하고 말았다. 정신을 차려 자세히 보니 중군(中軍)에서 수십 명의 상장(上將)들이 사륜거 한 대를 에워싸고 나오는데 수레 위에는 공명이 단정히 앉아 있었다. 그는 예전에 늘 보이는 모습대로 머리에는 윤건을 쓰고 손에는 우선(羽扇)을 들고 몸에는 학창의(

氅衣)를 입고 허리에는 검은 띠를 두른 틀림없는 공명이었다.

사마의가 매우 놀라며 말하기를: “공명이 아직 살아 있다니! 내가 경솔하게 적진 깊숙이 들어와 그의 계책에 빠져버렸구나!”

사마의는 급히 말을 돌려 달아났다.

그때 등 뒤에서 강유가 큰 소리로 외치기를: “역적 장수놈은 달아나지 마라! 네놈은 우리 승상의 계책에 걸려들었느니라!”

(p.100 중에서)

 

위군에서 왕기가 말을 타고 나오니 동오에서도 선봉 주이가 나가서 그를 맞이했다. 그러나 주이는 미처 3합도 싸우지 못하고 패해서 달아났다. 이번에는 당자가 말을 타고 달려 나갔으나 그도 3합도 겨루지 못하고 크게 패하여 달아났다.

왕기가 군사를 휘몰아 추격하니 동오의 군사는 크게 패하여 50리나 뒤로 물러나 영채를 세웠고 이 소식이 수춘성에 알려졌다.

제갈탄이 직접 휘하의 정예병을 이끌고 문흠(文欽)과 그의 두 아들인 문앙(文鴦문호(文虎)와 합세하여 수만 명의 대군을 거느리고 사마소와 싸우러 갔다.

이야말로:

 

방금 오나라 군사의 예기가 꺾이자마자 方見吳兵銳氣墮

또 위의 장수가 강한 군사를 몰고 온다 又看魏將勁兵來

 

승부가 어찌 될지 궁금하거든 다음 회를 기대하시라.

(p.232 중에서)

 

마침내 하후패는 앞장서서 성 안으로 쳐들어갔다. 군사들이 그 뒤를 따랐다. 하후패가 막 옹성(甕城) 근처에 이르자, 갑자기 한 발의 포성을 신호로 성 위에서 북소리·나팔 소리가 일제히 울리면서 성 전체에 깃발이 세워지더니 조교가 들어 올려졌다.

하후패가 깜짝 놀라며 외치기를: “적의 계략에 빠졌다!”

황급히 뒤로 물러나려고 할 때 성 위에서 돌과 화살이 빗발쳤다. 허망하게도 하후패는 부하 5백 명과 함께 그 성 아래에서 죽고 말았다.

후세 사람이 이를 탄식해 지은 시가 있으니:

 

담이 큰 강유 계책 또한 신묘했지만 大膽姜維妙算長

등애가 몰래 방비할 줄 어찌 알았나 誰知鄧艾暗提防

불쌍하구나 서촉에 투항한 하후패여 可憐投漢夏侯覇

성 밑에서 순식간에 살 맞아 죽었네 頃刻城邊箭下亡

(p.287 중에서)

 

등애는 그들이 자신의 병사로 착각하여 아무런 방비도 하지 않은 채 말을 물어보려는 순간 전속이 내려치는 한 칼에 그만 죽고 말았다. 등충 역시 양쪽 군사들의 혼전 중에 죽고 말았다.

후세 사람이 등애를 탄식하여 지은 시가 있으니:

 

어릴 때부터 계책을 낼 줄 알았고 自幼能籌畵

지모가 많아 군사 부리기 잘 했지 多謀善用兵

눈동자를 주시하면 지리를 알았고 凝眸知地理

하늘을 우러러보면 천문을 알았지 仰面知天文

 

말이 산 절벽에 이르러 길 끊기니 馬到山根斷

군사들이 절벽에 지름길 만들었네 兵來石俓分

공을 이룬 후 자신은 해를 당하니 功成身被害

넋은 한강의 구름으로 떠도는구나 魂遶漢江雲

 

종회를 탄식한 시도 지었으니

 

어릴 적부터 지혜롭다는 말을 듣고 髫年稱早慧

젊은 나이에 이미 비서랑이 되었네 曾作秘書郞

신묘한 계책에 사마소도 귀 기울여 妙計傾司馬

당시는 그를 자방이라 불러 주었지 當時號子房

 

수춘에서 많은 계책으로 공 세우고 壽春多贊畵

검각에서 무위 떨쳐 명성을 날렸지 劍閣顯鷹揚

도주공의 숨는 방법을 배우지 못해 不學陶朱隱

떠도는 넋이 고향 그리며 슬퍼하네 遊魂悲故鄕

 

또 강유를 탄식한 시도 지었으니

 

천수군이 자랑하는 빼어난 영재여 天水誇英俊

양주땅에서 기이한 인물 태어났네 凉州産異才

그의 혈통은 강태공을 이어받았고 系從尙父出

그의 계략은 제갈량에게서 배웠지 術奉武侯來

 

원래 담이 커서 전혀 겁이 없었고 大膽應無懼

장한 그 뜻 맹세코 굽히지 않으니 雄心誓不回

성도에서 그 몸 죽임을 당하던 날 成都身死日

한나라 장수들 슬픔이 그지없어라 漢將有餘哀

(pp.360~361 중에서)

 

4. 저자 소개

지은이 나관중(羅貫中, 1330?~1400)

원말 명초 시대에 살았던 구어체 장편소설의 선구자이다.

이름은 본, 호는 호해산인湖海散人이며 관중은 자이다.

그의 출생지에 관해 여러 설이 있으나 산서山西의 태원부太原府 청서현淸徐縣이 가장 유력하다.

그는 삼국지연의뿐만 아니라 시내암施耐庵과 함께 수호지水湖志를 저술하였으며 수당지전隋唐志傳, 삼수평요전三遂平妖傳, 잔당오대사연의殘唐五代史演義등을 편찬했다. 그는 또한 송태조용호풍운회宋太祖龍虎風雲會, 충정효자연환간忠正孝子連環諫, 삼평장사곡비호자三平章死哭蜚虎子등과 같은 잡극雜劇도 쓴 것으로 전해지며, 현재 송태조용호풍운회가 남아 있다.

 

옮긴이 김민수(金玟洙)

1959년 출생하여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였으며, 한국외대 외국어연수원 중국어과를 수료하고 한국방송대 중어중문학과 4학년에 재학 중 국비유학생으로 선발되었다. 중국인민대학에서 1년간 중국어를 더 배운 뒤, 3년 과정의 석사 학위를 2년 만에 취득했으며 중국문학의 대표문학이라 할 수 있는 삼국지에 관심이 많아 원서를 보던 중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다. 그는 40여 년간 출입국관리공무원으로 근무했으며 재직 중에는 주선양총영사관 영사, 법무부 이민정보과장, 이민조사과장을 거쳐, 양주·춘천·김포·제주 등에서 출입국 외국인사무소장을 역임했다. 퇴임 후 신한대학교에서 강사를 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중 양국의 외국인관리 비교 연구, 중국의 출국 정책 분석등 다수가 있으며, 出入國管理 四十年史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중국의 출입국관리 개론(번역서) 출입국직원을 위한 실무중국어가 있다.

 
좋아요공감
공유하기
통계
글 요소